Research

  • HOME
  • Research
  • Projects
스마트관광연구소는 2013년 설립 이후부터 관공서 및 정부기관, 주요 연구기관과 함께 학술연구 및 정책연구를 아우르는 스마트관광 분야의 다양한 과제를 수행해오고 있습니다.
Total 13건 1 페이지
Projects 목록
글로벌 관광도시 도약 중장기 컨설팅 용역(2023, 서울관광재단) 이 과제는 기존 스마트관광도시 경쟁력 지표를 보완하고 현행화하는 것과, 중장기적으로 서울시와 국제기구 간 협력 사업의 기반을 구축하는 두 가지 핵심 목표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협력 사업 기반 구축 연구와 관련하여 UN의 SDGs와 연계하여 지속가능한 스마트관광도시로의 발전에 적합한 요소를 도출했다. 나아가, 주요 국제기구와의 협력 가능성을 모색하며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했다. 이를 바탕으로, 서울시가 주요 SDGs와 맥을 같이하는 지속가능발전 방향을 설정하고, 국제기구와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구체적 로드맵을 수립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카드뉴스와 뉴스레터 등을 통해 일반인들에게도 쉽게 전달되도록 홍보되었다. 
서울 스마트관광 플랫폼 혁신 방안 연구(2022, 서울관광재단) 본 연구는 서울의 스마트관광 플랫폼을 중심으로 도시 관광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방향을 모색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국내외 동향과 사례를 분석하고, 전문가 및 이용자 의견을 바탕으로 플랫폼의 개념과 기능을 정립하였으며, 데이터 기반과 참여 중심의 혁신 방안을 제시하였다.
스마트관광도시 경쟁력 지표 현행화 및 적용(2022, 서울관광재단) 본 연구소는 2020년에 스마트관광도시로써의 경쟁력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스마트관광 경쟁력 지표’를 개발한 이후, 시시각각 변화하는 개인들과 사회의 모습을 반영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지표를 개선해오고 있다. 2022년에는 코로나19로 인해 가속화된 관광 분야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대한 내용과 더불어, 비대면․비접촉 여행에 대한 높아진 수요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세부 지표를 추가하였다. 
베트남 후에시 문화관광 스마트시티 조성 지원사업 PMC 용역(2021-현재, 한국국제협력단) 본 사업은 후에시의 문화적 자산과 관광 자원을 디지털 기술로 연결하여 스마트관광도시로서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특히, 스마트관광도시의 핵심 요소를 도입하여 후에시의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지속가능한 관광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했다.
서울 스마트관광 콘텐츠 활용방안 연구 (2021, 서울관광재단) 본 연구는 ICT 기술과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관광 콘텐츠의 현황을 분석하고, 서울 관광에 적합한 콘텐츠 개발 방향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국내외 사례 분석과 수요자 조사를 통해 스마트관광 콘텐츠의 활용 실태와 이용자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전문가 및 업계 의견을 반영해 서울형 스마트관광 콘텐츠의 핵심과제를 정리하고 추진 전략을 제시하였다. 또한, 관광객 페르소나 기반 콘텐츠 기획과 경제적 효과 분석을 통해 실현 가능성과 기대효과를 검토하였다.
한국관광공사 비대면지수 개발 및 운용(2020, 한국관광공사) 이 연구는 한국관광공사에서 선정한 가을 언택트 관광지 100선을 대상으로, 관광객이 코로나 걱정 없이 안심하고 방문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비대면 지수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혼잡도, 트래픽량, 소셜관심도, 코로나 확진자 수 등 여러 가지 변수를 합산하여 매주 1회 비대면지수를 도출하여 제공하였으며, 비대면지수로 인한 관광객의 분산효과는 뚜렷이 드러났으며, 향후 안심관광을 위한 정보 제공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스마트관광도시 지표 개발 및 적용 용역(2020, 서울관광재단) 본 연구는 국내 뿐만 아니라 세계 주요 스마트관광도시들에 두루 적용할 수 있는 표준화되고 객관적인 지표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스마트관광도시에 대한 기존 문헌 검토,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스마트관광도시 경쟁력 지표를 개발하였다. 이후 지표에 부합하는 2차 데이터 수집 및 관광객과 한국관광공사 해외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세계 12개 스마트관광도시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가장 높은 경쟁력을 갖는 스마트관광도시는 싱가포르로 나타났으며, 서울은 4위로 평가되었다.
코로나 19에 따른 호텔산업의 대응 방안 연구(2020, (주)CODY) 본 연구는 코로나 19에 대한 호텔산업의 피해액 및 피해액에 따른 회복기간을 추정함으로써 호텔산업의 재난 대응 방안을 제시하고, 호텔의 가격 결정 알고리즘 분석 및 셀프서비스 역할 확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숙박 패러다임을 변화 예측을 위한 Airbnb 공유숙박 플랫폼 데이터 분석 (2020, Airbnb) 이 연구는 Oxford Economics 에어비앤비 리포트의 로컬화 및 심화연구를 수행하여 에어비앤비가 국내 지자체 경제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고, 호스트 매출과 상품의 정보가 가지는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스마트관광 도시조성 기본구상 연구(2019, 서울관광재단) 본 연구에서는 서울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을 위한 비전, 전략, 핵심과제를 도출하고, 국내외 스마트관광도시에 대한 동향 파악, 서울의 환경 분석, 관련 전문가 조사 등을 통해 핵심가치 및 추진전략, 핵심과제와 세부사업 리스트를 구축하였다.
스마트관광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2019, 한국관광공사) 이 연구는 한국관광공사에서 추진 예정인 스마트 관광 관련 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추정하고, 방문의사율과 실현율을 사용하여 스마트 관광 관련 사업들로 인해 지방 도시의 관광객 수요가 얼마나 증가할 수 있는지를 추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서울어린이대공원 퍼소나 유형 개발에 따른 빅데이터 플랫폼 콘텐츠 서비스 개발(2019, (주)이즈피엠피) 본 연구는 서울어린이대공원 방문자에게 제공되는 체험 콘텐츠 및 추천 코스를 서비스 디자인 관점에서 설계하고, 서울어린이대공원의 효과적인 방문자 빅데이터 관리를 위해 빅데이터 플랫폼 설계 시나리오를 개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서울시<오래가게> 관광자원의 지속가능 발전전략(2019, 서울시) 본 연구는 서울시 문화관광콘텐츠 발전방안을 제안하고, 오래가게 및 국내·외 유사사업 분석과 점주 및 잠재방문객에 대한 인식조사를 통해 단기 및 중장기 발전방안 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게시물 검색